일곱 번째 시간에 배워 볼 내용은,
세로줄 과 마디 입니다.
세로줄 과 마디 는
음악의 구조를 결정하는데에
꼭 필요한 요소 입니다.
그렇다면, 꼭 짚고 넘어가야 하겠죠?
세로줄 & 마디
세로줄 과 마디 를 한눈에 보면,
이런 형태 들을 가지고 있습니다.
세로줄의 종류
세로줄 | 겹세로줄 | 끝세로줄 |
마디를 알기 전에 알아볼 것은
세로줄 입니다.
세로줄 이란?
세로줄 |
마디를 구분하기 위해 그은 1개의 수직선입니다. |
박자의 셈여림을 결정하기 위해 센박 앞에 긋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, 세로줄을 기준으로 왼쪽의 마지막 음은 약박, 오른쪽의 첫음 은 강박이 됩니다. |
마디 란?
마디 |
세로줄 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 |
곡의 가장 작은 단위 입니다. |
# 예시 )
- 세로줄로 구분되어있는 부분이
마디 입니다.
여기서 잠깐!
알면 좋은 음악 상식 나갑니다.
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악들은,
대부분, 2마디/ 4마디/ 8마디 구성인 거 아시나요?
이에 대해서는,
곡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보며 알아봅시다.
곡을 이루고 있는
구성요소 & 형식
곡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 | |
마디 [1마디] |
곡의 가장 작은 단위 |
동기 [2마디] |
음악의 구성요소 중 독립성을 지닐 수 있는 최소 단위 |
악구 (= 작은악절) [4마디] |
*종지 로 끝나는 최소의 음악형식 단위 |
악절 (= 큰악절) [8마디] |
(선행) 악구 + (후행) 악구 가 만나 만들어지는, 크고 완결한 형식 단위 |
* 종지: 화성 흐름의 매듭을 지어주는 중요한 화성 진행
악절에 따른 음악의 형식 | |
한도막 형식 | 1개의 큰악절 (큰악절=1악절) = 8마디 |
두도막 형식 | 2개의 큰악절 (큰악절+큰악절=2악절) = 16마디 |
세도막 형식 | 3개의 큰악절 (큰악절+큰악절+큰악절=3악절) = 24마디 |
작은 세도막형식 | 3개의 작은악절 (작은악절+작은악절+작은악절) = 12마디 |
이렇게, 악곡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보면,
곡이 왜 2 /4 /8마디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 수 있겠죠?
겹세로줄 이란?
겹세로줄 [double bar] |
|
보표에 그은 2개의 수직선 (이중의 세로줄) 2개의 줄의 굵기가 같습니다. |
|
악곡의 단락이 끝날 때 |
박자가 바뀔 때 # 예시 1) |
조성이 바뀔 때 # 예시 2) |
# 예시 1)
-
4/4박자 가 마무리되고, 2/4박자 가 새로 시작되면서 박자표 가 바뀔 때 사용됩니다.
# 예시 2)
-
사장조 (= G key) 가 마무리되고, 라장조 (= D key) 가 새로 시작되면서 조표 (조성)가 바뀔 때 사용됩니다.
끝세로줄 이란?
끝세로줄 [double bar] |
보표에 그은 2개의 수직선 2개의 줄 중, 오른쪽의 수직선의 굵기가 더 진합니다. |
악곡의 끝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. |
# 예시 )
-
위처럼, 하나의 악절(8마디) 이 악곡의 전체라고 했을 때 끝나는 부분에 사용됩니다.
여기까지,
세로줄 과 마디 에 대해
배워봤습니다.
다음 시간에는,
박자표 에 대해
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.
'화성학 > 음악기초이론 첫걸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음악 기초이론/ 악보 보는 법] 9. 변화표: 임시표와 이명동음 (0) | 2020.09.12 |
---|---|
[음악 기초이론/ 악보 보는 법] 8. 박자표의 종류와 읽는법 (0) | 2020.09.12 |
[음악 기초이론/ 악보 보는 법] 6. 쉼표의 종류와 길이 (0) | 2020.09.11 |
[음악 기초이론/ 악보 보는 법] 5. 음표의 종류와 길이 (3) | 2020.09.11 |
[음악 기초이론/ 악보 보는 법] 4. 반음(semi tone)과 온음(whole tone) (4) | 2020.09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