첫 시간에 배워 볼 내용은,
음정 (interval) 중에서도
단음정 (홑음정) 에 대한 내용입니다.
음정 (interval) 이란?
한 음과 다른 한 음 간의 높이 | 두 음이 갖는 서로의 거리 | '도수' (도) 라는 단위로 표시 |
도수 는
음에 변화기호가 붙어있어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,
음정을 셀 때 간격만 세면 됩니다.
쉽게 말해서,
수학시간에 배웠던 '절댓값' 개념을 생각해봅시다.
숫자 앞에 -가 붙던, +가 붙던,
숫자의 크기 만 다루죠.
그렇기 때문에,
음정의 도수 를 비교한다면,
임시표는 무시하고 간격 만 비교해서,
임시표 (변화기호) 를 뗀,
[도 - 파] 와 동일하게 '4도' 로 세면 됩니다.
이번에 배우는것은,
단음정 (복음정)
개념을 놓칠 수 없죠.
단음정 (=홑음정) | → 완전8도 (1옥타브) 까지의 음정 |
복음정 (=겹음정) | → 완전8도 (1옥타브) 를 넘은 음정 |
# 복음정 (겹음정)의 성질은, 단음정(홑음정)과 동일합니다.
기본음정 이란?
도 (C) 음을 기준으로 한 옥타브 위의 도 (C) 까지 순차적으로 세어 계산한 음정 을 말합니다. |
# [도 - 레 - 미 - 파 - 솔 - 라 - 시 - 도] 를 순차적으로 세면,
1, 2, 3, 4, 5, 6, 7, 8도까지 8개가 나오기 때문에,
8도 까지 있습니다.
< 음정의 종류 >
완전음정 | 장음정 | 단음정 | 증음정 | 감음정 |
[Perfect interval] | [Major interval] | [minor interval] | [Augmented interval] | [diminished interval] |
이렇게 다섯가지가 있는데,
영어로 표기된 부분은
나중에 코드를 배울때 약자로 나오기 때문에,
알아두시는게 좋습니다.
음정의 성질은 크게 두가지 로 나뉩니다.
< 음정의 성질 >
완전음정 | 장/ 단음정 |
1, 4, 5, 8도 | 2, 3, 6, 7도 |
완전음정 과 장/ 단음정 의 거리를 계산할 때는,
온음 과 반음 수에 따라 달라지는데요.
온음 과 반음 의 개념을 모르겠다면,
# 아래를 참고!
[음악 기초이론/ 악보 보는 법] 4. 반음(semi tone)과 온음(whole tone)
네 번째 시간에 배워볼 내용은, 반음 과 온음 입니다. 화성이나, 음정의 성질이 반음 과 온음 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, 굉장히 중요한 요소 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반음 과 온음 이 무
dameun.tistory.com
온음 과 반음 의 개념을 충분히 익혔다면,
도(C)를 기준 음으로 완전음정 과 장단음정 은
어떻게 생겼는지 빠르게 훑고 가볼까요?
오선에 위치한 온음 과 반음 의 위치를 보면서,
아래의 음정표의 온/ 반음 의 개수를 살펴 봅시다.
완전음정 이란?
장/ 단음정 이란?
음정의 성질 을 구분하려면,
어떤음정에 반음 이 몇개가 있는지 꼭 알아야 합니다.
그래서 한눈에 들어오는 표로 만들어봤습니다.
# 1번 표)
# 2번 표)
도수를 센 후 음정의 넓이 |
반음 넓어졌다면 (+ 1반음) |
반음 좁아졌다면 (- 1반음) |
이러한 방법으로 2번 표에 적용해 봅시다.
1번 표 | → 이해하고, 눈으로 한번 쓱- 보고 넘기기. |
2번 표 | → 공책을 펴고 한번 따라서 그려보기. |
그대로 따라 그리는 것만 해도 ,
음정 관계를 계산할 때, 저절로 표가 머릿속에 그려질 겁니다.
여기까지,
음정 에 대해
배워봤습니다.
다음시간에는,
음정관계계산방법/ 문제풀이 에 대해
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.
[화성학/ 음악이론] 1-2. 음정 계산하는법 - 단음정(홑음정)
지난시간에는 '음정' 에 대해 배워봤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, 이번시간에 배워볼것은 '음정을 계산하는 방법' 과 '음정문제를 푸는 원리' 입니다. 첫번째로, 음정 관계를 계산하는 순서를 정리해
dameun.tistory.com
'화성학 > 다시보는 화성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화성학/ 음악이론] 2. 화음의 종류와 성질 - 3화음 (3) | 2020.09.12 |
---|---|
[화성학/ 음악이론] 1-2. 음정 계산하는법 - 단음정(홑음정) (0) | 2020.09.11 |